본문 바로가기

Tech Stack/Machine learning

(11)
기계학습 - 3 mean_absolute_error = 절대값 w를 점점점점 떨어트려서 평균제곱 오차를 확인 선형 회귀 모델에서 'w'와 'd'는 각각 특정 변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w'는 가중치(기울기)를 의미하며, 'd'는 종종 절편(bias)을 나타내는 데 사용 다루고자하는 문제에 따라 튜닝하는것이 중요 군집화 K-NN알고리즘 분류문제 분류와 군집화 비슷한끼리 모으는 법 분류하고자하는 데이터가 어디에 가까운지 특징을 잘 잡아야함 ex) 특정 자동차의 특징을 빨간색으로만 분류 합성곱신경망 피처를 뽑아내는것을 에러가 min되는 방향으로 뽑아내기 때문에 classfication에서 좋음 k-최근접이웃 k-nn 데이터 인스턴스 클래스 특징의 요소들의 개수가 많다면, 많은 메모리공간과 계산시간이 필요하다는 ..
기계학습 - 2 y=wx+b 비선형 회귀 : 지도학습 알고리즘 선형회귀 : x에 대응되는 실수 y들이 주어지고 추정치 f(x)가 가진 오차를 측정 숨겨진 관계를 표현하고 약품 투입량과 같은 독립 변수에 대해 오염도라는 종속 변수가 어떤 값을 가질지 예측하는 fa(x)와 fb(x)를 가설이라고 부름 좋은 가설은 오차가 작은 가설 데이터에 제시된 목표값을 레이블이라고 부름 이진 분류 : 데이터를 양분하는 경계 직선 혹은 곡선을 찾는 것 특징 : 관찰되는 현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개별적인 속성을 의미 기계학습 특징 예 사람의 키와 몸무게 개의 몸통길이와 높이 주택 가격에 영향을 주는 주택의 특징 특징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기계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 연쇄법칙 : 매개변수를 통해서 연결이 되는 구조 좋은 가설이라면 데이터..
기계학습 - 1 기계학습 공부 1 기계학습을 공부하며 인공지능을 폭 넓게 더욱 공부해보고자 한다. 튜링 테스트 - 질문자가 올바로 판정한 횟수가 실험 횟수의 절반 이하라면 컴퓨터가 사람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으로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것 IBM의 아서 새뮤얼은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 IBM 701로 체커스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1959년 아서 새뮤얼이 체커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험결과를 발표하면서 처음 사용 조작적 정의 를 한 것은 1950년 튜링이 발표한 논문이 처음 인공지능은 휴리스틱을 찾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김 인공신경망의 시작 --> 1958년에 프랭크 로젠블랫이 만든 퍼셉트론 마빈 민스키와 시모어 패퍼트의 1969년 저서 퍼셉트론이 출간되고 변화 문제와 논리 탐색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기호를 표현하여 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