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 Stack/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필기 프로그래밍언어, 정보시스템구축관리 정리

4-46

char = 문자 하나를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

 

C언어 변수 설정 규칙
1. _와 $외는 불가능

2. 첫 자리 숫자 불가능

3. 공백 중간 불가능

4. 이미 사용하고있는 예약어는 불가능

 

08. 비트논리 연산자

& = 두 값을 비트로 연산하여 같은 비트의 값이 모두 1이면 해당 비트값이 1이되고, 그렇지 않으면 0이 되는 연산자

| = 두 값을 비트로 연산하여 같은 비트의 값이 하나라도 1이면 해당 비트 값이 1이 되고, 아니면 0

^ = 두 값을 비트로 연산하여 같은 비트의 값이 서로 다르면 해당 비트값이 1 아니면 0

~ = 모든 비트의 값을 반대로

 

'A'의 아스키코드는 십진수로 65

'A'+1 = 66

 

이진수연산은 나머지

 

10진수는 나머지 순서로 제곱

 

0111

2^3 = x

2^2 = 4

2^1 = 2

2^0 = 1

== 7

 

13. 연산자 우선순위

증산시 관비 논삼대

 

16.

x++

x를 먼저 대입 후 +1

--x

x를 -1 감소 시킨후 대입

 

if문은 조건에 따라 특정 코드를 실행하거나 건너뛰는 역할을 하고, while문은 조건이 참인 동안에 반복적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 = 두 개의 논리값 중 하나 이상 참이면 참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거짓을 반환

&& = 두 개의 논리값이 모두 참이면 참 아니면 거짓

!= 두 값이 다른지 확인하는 연산자

 

28 파이썬 자료형

세트 형 =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

리스트 형 =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

튜플 형 = 초기에 선언된 값에서 생성, 삭제 수정이  불가능한 형태의 자료구조

딕셔너리형 =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자료구조

 

32 C

a의 주소값을 10이라고 하고

int의 자료형 크기를 4byte라 했을 때

&a[2]는 4씩 두번 == 18

a = 10

 

45.

a[:7:2]

0~6번인덱스를 2씩 증가해서 출력

 

4-71

boolean = 1byte

char =2byte

 

byte = 1byte

short = 2byte

int = 4byte

long = 8byte

 

float = 4byte

double = 8byte

 

04 스크립트 언어

PHP

Basic

Python

 

4-79

02

atoi() 문자열을 정수

atof() 문자열을 실수

itoa 정수형을 문자열

ceil 소숫점 올림

 

04

stdlib.h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어주는 atoi, atof, 표준 라이브러리

string.h 문자열 처리 함수들의 정의

stdio.h 표준 입출력

math.h 삼각함수, 제곱근, 지수 등 수학적인 함수를 내장

 

06 예외

문법오류로 인해 발생하는것은 예외가 아님

 

07 strcnp

문자열을 비교하는 함수

 

4-117

쉘이아닌 커널이 프로세스관리, 파일관리, 입출력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

 

운영체제 기능별 분류

 

제어 프로그램 :

1. 감시프로그램

2. 작업제어 프로그램

3.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처리 프로그램 :

1. 언어번역 프로그램

2. 서비스 프로그램

3. 문제 프로그램

 

4. 지역성

공간 지역성은 하나의 기억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 장소가 계속 참조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

 

 

07~08 FIFO알고리즘 페이지 부재 계산

 

FCFS 알고리즘

최소 평균 반환시간 = 빠른것 부터 먼저

최대 평균 = 느린거 부터

 

worst fit

메모리 크기가 가장 큰것부터 계속 할당하는 것

 

 

최초적합. 가용될 수 있는 공간 중 첫 번째 분할에 할당하는 방법

 

 

13. 주기억 장치 할당 기법 중 분산할당 기법의 유형

페이징 기법 = 프로그램을 고정된 크기의 일정한 블록으로 나누어 주기억장치에 분산된 공간에 적재시킨 후 프로세스를 수행시키는 방법

세그멘테이션 기법 = 가상기억장치 내의 프로세스를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메모리를 할당하는 기법

페이징/세그멘테이션 혼용 기법 = 하나의 세그먼트를 정수 배의 부분 페이지로 다시 분할하는 기법

 

1.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발생 현상

더 많은 페이지 사상 테이블 공간이 필요

내부 단편화는 줄고, 특정한 참조 구역성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억장치 효율이 좋음

페이지 정보를 갖는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커지고, 매핑속도가 늦어짐

디스크 접근 횟수가 많아져서 전체적인 입 출력 시간 증가

 

2.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테이블 크기가 작아지므로 주기억장치의 공간이 절약

페이지 정보를 갖는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작아져서 관리가 용이하고 매핑속도가 빨라짐

디스크 접근 횟수가 줄고 , 전체적인 입 출력 시간 감소

페이지 단편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억공간의 낭비 초래

 

 

15. 페이지 교체 기법

FIFO

Optimal

LRU

 

16. RR

RR은 프로세스는 같은 크기의 CPU에 할당하고 프로세스가 할당된 시간내에 처리 완료를 못하면 준비 큐 리스트의 가장 뒤로 보내지고, CPU는 대기중인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방식을 우선순위를 처리한다.

RR은 시간할당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이 자주 일어나고, 시간할당이 커지면 FCFS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보게된다.

 

18 SRT, SJF

SJF는 비선점 기법이다

SJF는 프로세스가 도착하는 시점에 따라 그 당시 가장 작은 서비스 시간을 갖는 프로세스가 종료 시까지 자원 선점한다.

SRT는 짧은 수행시간 프로세스를 우선 수행

SRT에서는 이미 할당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빼앗아 사용 가능

 

 

19

구역성 지역성 =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

Thrashing =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Working Set =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

Prepaging = 사용될 페이지라고 예측되어지는 페이지를 미리 적재하는 것

 

20. HRN방식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서비스 시간

대기시간이 긴 프로세스일 경우 우선순위가 높아짐

 

23

Real-time processing system = 실시간 처리 시스템

Time sharubg system = 시분할 시스템 = 라운드로빈

Batch Processing System = 일괄 처리 시스템

Distrivuted Processing Systme = 분산처리 시스템

 

24

FIFO와 RR스케줄링 방식을 혼합, 상위단계에서 완료되지 못한 작업을 하위 단계로 전달되어 마지막단계에 RR

MFQ = 다단계 피드백 큐

프로세스를 특정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경우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른 준비상태 큐를 사용하는 기법

 

26

PCB구성요소

프상카레스계입메

 

27 

선점 스케줄링 알고리즘

SMMR

SRT / MLQ / MLFQ / Round Robin

 

비선점 스케줄링 알고리즘

우기 HFS

우선순위 / 기한부 / HRN / FCFS /SJF

 

28. SJF

최단 작업 우선 스케줄링

평균 대기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CPU점유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 CPU를 먼저 할당하는 방식의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평균 대기시간을 최소

남은 처리시간이 더 짧다고 판단되는 프로세스가 준비 큐에 생기면 언제라도 프로세스가 선점되는 방식은 SRT

 

30 스레싱

페이지 교환이 많아지는 현상

 

31

워킹세트 = 각 프로세스가 많이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주기억장치 공간에 계속 상주하게 하여 빈번한 페이지 교체 현상을 줄이고자 하는 기법

 

지역성(구역성) = 프로세스가 기억장치 내의 모든 정보를 균일하게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

교착상태 = 다중프로세싱 환경에서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특정 자원할당을 무한정 대기하는 상태

스레싱 =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32 . 프로세스 상태

생준 실대완

 

스레드랑 스레싱이랑 다름

 

37 교착상태 발생조건

상점비환

상호배제 / 점유와 대기 / 비선점 / 환형 대기

 

38 회피 기법

은행가 알고리즘, Wound-Wait, Wait-Die

 

은행가 알고리즘 교착상태 해결방법

Avoidance

 

교착상태 해결방안

예회발복

 

 

SJF스케줄링의 경우 비선점 스케줄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자원을 선점하면 그 프로세스가 종료할 때 까지 자원을 독점

가장 작은 서비스 시간을 갖는 프로세스가 작업을 종료할 때 까지 자원을 점유

 

env, set printenv = UNIX SHELL

 

46. SSTF

탐색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

 

47 파일디스크립터

사용자가 직접 관리 x

 

53 스레드

여러개의 사용자 스레드 중 하나의 스레드가 시스템 호출 등으로 블록이 걸리면 나머지 모든 스레드 역시 블록

커널 레벨 스레드는 커널이 각 스레드를 개별적으로 관리

사야오자 레벨 스레드는 커널모드로의 전환 없이 스레드 교환이 가능하여 오버헤드가 줄어듦

 

1. 쓰레드란?

사전적 의미) 실을 꿰다

운영체제 의미) 실행될 명령어들의 연속

  • 정량 프로세스(Light Weight)라고 한다
  •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저에서 여러 개의 인터럽트 루틴이나 함수를 순서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스 = 단일 쓰레드
  • 하나의 프로세스에 여러 개의 쓰레드 존재 = 다중 쓰레드
  • 순차적 실행과 프로세스 상태 전이의 병렬성을 접속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는 하나의 시스템 공유
  •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상태 전이를 통해 실행되듯이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여러 개의 쓰레드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프로세스 내 쓰레드 간 통신은 커널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스 간 통신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 멀티 프로세서(CPU가 여러 개)는 탑재 프로세서(CPU)마다 쓰레드를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162

02

다중접근제어방식

CSMA/CD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 충돌탐지

CSMA/CA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 충돌회피

 

04

OSI 단말기 사이 오류 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

전송계층

 

TCP 전송계층

IP 네트워크 계층

 

전송계층 =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주면서 종단간의 사용자들에게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달

세션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프로세스 들의 논리적인 연결을 담당

표현계층 =  애플ㄹ리케이션이 다루는 정보를 통신에 알맞는 형태로 만들거나 하위 계층에서 온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듦

응용계층 =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서비스를 수행

네트워크 계층 = 다양한 길이의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품질을 위한 수단을 제공

데이터 링크 계층 = 링크의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 노드간의 오류 제어와 흐름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물리 계층 = 실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 동기화, 오류제어, 흐름제어, 회선제어 기능 수행

 

프레임 = = 데이터 링크 계층의 데이터의 단위

 

아파서티내다,피나다

어플리케이션

프레센테이션

세션

트렌스포트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피지컬

 

11.   203.241.132.82/27 = CIDR == 서브넷마스크

27 == 1이 27개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00000

11100000의 10진수

8^2 + 7^2 + 6^2 + 2^0 ...

 

14.

IPv6 =128

헤더크기고정

유멀애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버트플 페넥홉 소데

 

IPv4 =32

 

A클래스 = 0 ~127

B = 128~191

C = 192 233

D = 224 ~ 239

E = 240 ~ 255

유멀브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버헤타토 아플프 타플체 소데

 

ICMP = 네트워크 계층

 

OSPF

홉 카운트 제한이 없기 때문에 대규모 네트워크 적합

 

HTTP = 응용계층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닌 것

SLIP

 

29

IP

비연결 프로토콜

에러제어와 흐름제어가 없음

IP패킷이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 될 수 있기 때문에 송신된 순서와 다르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IP패킷에서 헤더체크섬을 제공

 

TCP

신뢰성있는 연결 지향형 전달 서비스

기본헤더 크기는 20 ,60까지 확장가능

스트림전송기능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 제공

 

프레임전송 오류제어 = 데이터 링크 계층

 

TCP/IP

DNS SMTP HTTP 전송계층

 

ARP = 네트워크 계층

 

IP주소를 ㅡMAC = ARP

ICMP = IP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알려줌

 

UDP헤더 구조

소데 랭체

Source Port Number / Destination Port Number / UPD length / UDP Checksum

 

윈도우 크기 65.535

 

오류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있고 명확한 데이터 전달

 

SSH 기본포트 22번

 

VLAN = 물리적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하여 성능향상 및 보안성 증대

STP = 2개이상의 스위치가 여러 경로로 연결될 때 무한루프현상을 막기 위해 1개의 경로로만 통신

 

HTTP = 응용계층

 

ICMP = 오류정보 전송

PPP = 두 통신 노드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IPv6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뉜 16진수로 표현

 

IP프로토컬 = 헤더에서만 체크섬 제공

 

체크섬(checksum)은 중복 검사의 한 형태로,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전자 통신)이나 시간(기억 장치)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이다. 통신에서 순환 중복 검사(CRC)를 체크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IGP = RIP, OSPF (애라 RIP OSPF 두개)

EGP = BGP

 

NS Chart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ㅎ식 표현방법

연속 선택 및 다중선택 반복 등의 제어 논리 구조로 표현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식별하는 데 적합

 

CBD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

컴포넌트 제작 기법을 통해 재사용성 향상

독립적인 컴포넌트 단위의 관리로 복잡성 최소화

 

SoftTech개발

구조적 요구 분석을 하기 위해 블록 다이어그램

SADT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모형

하향식 비용 산정방법 = 전문가 감정 기법, 델파이 기법

상향식 비용 산정방법 = 코드라인수(LoC), M/M, COCOMO, Putnam, FP, 개발 단계별 노력 기법

 

 

비용산정 기법

개발단계 노력 기법 = LoC 확장. 코딩단계 뿐만 아니라 SW개발 생명 주기 단계별로 적용시켜 모든 단계에서의 비용을 산정

전문가 감정 기법 = 조직 내에 있는 많은 2명이상의 전문가에게 비용산정을 의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비용을 산정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이고 주관적임

델파이 기법 = 전문가 감정 기법의 주관적인 판단 보완. 많은 전문가 의견 종합. 1명의 조정자와 여러 전문가로 구성

LoC= 소프트웨어 각 기능의 원시코드라인수의 낙관치, 중간치, 비관치를 측정하여 예측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용을 산정

 

요구 기능을 증가시키는 인자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능의 점수를 계산하여 비용을 산정하는 방식은 기능점수(FP)방식이다

 

COCOMO

보헴이 제안한 모형으로 프로그램 규모에 따라 비용을 산정

비용산정 결과는 프로젝트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노력으로 산정

비용견적의 강도 분석 및 비용 견적의 유연성이 높아 소프트웨어 개발비 견적에 널리 통용

규모에 따라 유형은 조직형, 반 분리형, 임베디드형으로 나뉨

 

Organic, Semi-detached, Embedded

 

기능점수 기법 = 요구기능을 증가시키는 인자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요인별 가중치를 합산하여 총 기능점수를 계산하여 비용을 산정

LoC = 소프트웨어 각 기능의 원시코드라인수의 비관치 낙관치 중간치를 측정하여 예측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용을 산정

COCOMO = 보헴이 제안한 모형으로 프로그램 규모에 따라 비용을 산정

전문가 감정 = 조직 내 2명이상 전문가

델파이 = 여러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문제 해결 및 미래예측을 위한 기법

 

소프트웨어 기능 증대 요인

자료입력, 정보출력, 명령어, 데이터 파일, 필요한 외부 루틴과의 인터페이스

 

Puthnam 모형

SLIM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의 단계별로 요구할 인력의 분포

곡선의 노력 분포도

 

임계경로 = 가장 긴 경로

 

PERT 일의 순서를 계획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수렴 기법으로 비관치, 중간치, 낙관치의 3점 추정방식을 통해 일정을 관리하는 기법

 

 

COCOMO

Organic = 기관 내부에서 개발된 중 소규모의 소프트웨어로 일괄자료나 처리 과학 기술 계산용, 비즈니스 자료 처리 개발에 적용, 5만 라인 이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

 

semi detached = 단순형과 임베디드형의 중간,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컴파일러, 인터프리터와 같은 유틸 개발, 30만 라인 이하

embedded = 초대형 규모의 트랜잭션, 운영체제, 실시간 처리, 30만 라인 이상의 소프트웨어

 

나선형 = 위험분석은 마지막단계가 아닌 두번째 단계에서 수행

 

두명 개발자 5개월 10000라인

10000/ (5x2)

 

PART차트 = 프로젝트에 필요한 전체 작업의 상호관계를 표시, 작업들 간의 상호 관련성, 결정경로, 경계시간, 자원할당 등 알 수 있음

GANTT  = 시간선 차트, 작업이 언제시작되고 언제 종료. 수평막대의 길이는 각 작업의 기간

Gantt Chart = 업무별로 일정의 시작과 끝을 그래핅으로 표현하여 한눈에 볼 수 있음. 간트 차트는 프로젝트를 이루는 소작업별로 언제 시작되고 언제 끝나는지를 한누에 볼 수 있음, 자원 배치 계획에 유용, CPM네트워크로부터 만드는 것이 가능, 수평 막대 길이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

 

5-33

1. 

XML = W3C에서 개발된 다른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

JSON = 비동기 브라우저/서버통신을 위해 속성 값 키 값 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

WEB SERVER 웹 브라우저부터 HTTP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문서와 같은 웹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 

CMM모델의 레발로 옳지 않은 것은?

초관 정관최

초기화 / 관리 / 정의 / 정량적 관리 / 최적화

 

3.

SPICE =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 중 소프트웨어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평가 및 개선하는 국제 표준

SCRUM = 매일 정해진 시간, 장소에서 짧은 시간의 개발을 하는 팀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 중심 방법론

CASE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전체 단계를 연결해주고 자동화해주는 통합된 도구

 

05 테일러링 개발 방법론

목요프구 국법

목표환경 / 요구사항 / 프로젝트 특성 / 구성원 능력, 국제표준품질기준 / 법적 규제

 

06 ISO 12207 소프트웨어 획득, 공급, 개발, 운영, 유지보수를 체계적으로 관리\

기본생명주기 프로세스, 지원생명주기, 조직 생명주기

 

07 SPICE

불수관 확예최

불안정 / 수행 / 관리 / 확립 / 예측 / 최적화

 

12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는 직접 코드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안에서 필요한 코드를 짜 넣는 방식이고, 라이브러리는 프레임워크와는 달리 사용자 코드에서 프레임워크를 호출해서 사용하고, 그에 대한 제어도 사용자 코드가 가지는 방식

 

13

합성 중심 = 전자칩과 같은 소프트웨어 부품, 즉 블록을 만들어서 끼워 맞추어 소프트웨어를 완성시키는 방법으로, 블록구성 방법이라고 함

 

생성 중심 = 추상화 형태로 쓰여진 명세를 구체화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으로, 패턴구성 방법이라고 함

 

5-49

01 블루투스 네트워크 구성

피코넷, 스캐터 넷

 

02 네트워크 기술

SDP = 인증 및 인가가 되기 전에 DNS정보나 IP주소를 알 수 없는 '블랙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동작하는 컴퓨터 보안 접근 방식

VPN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몇몇 단체의 내용을 외부에 드러내지 않고 통신할 목적으로 쓰이는 사설 통신망

LAN = 근거리 통신망은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 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

MeshNetwork = 기존 무선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하였으며,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 홈 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의 특수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그물모양

다수 국 사이에서는회선이 세분화디어 비경제적일 수 있음

 

 

03 망 구조

버트링성

버스형/트리형/링형/성형

 

 04 SDN

네트워크 제어부, 데이터 전달부로 분리하여 네트워크 관리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제어, 관리할 수 있는 기술

SDN은 기존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이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네트워크 체계에서 안정성, 속도, 보안 등을 소프트웨어로 제어, 관리하기위해 개발

 

 

06

Zing = 기기를 키오스크에 갖다 대면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10cm 이내 근접 거리에서 기가급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근접 무선 통신 기술

3Gbps급의 기기간 최대 전송속도 및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 순간 전송 제공

 

BcN = 통신 방송 인터네잇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광대역 통합 망

 

C-V2X = 이동통신 기술 기반의 V2X통신기술로 차량이 유무선 망을 통해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정보를 교환 할 수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통신기술

 

07

프레임중계서비스와 프레임 교환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이다.

 

10

RIP

최대홉수 15, 사용 포트로는 UDP 520사용, 30초마다 전체 라우팅정보를 브로드캐스팅

 

12 

파장 분할 다중화 WDM =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신호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광섬유를 다중화하는 방식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하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작은 대역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

코드 분할 다중화 CDM = 디지털 신호에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 전송하는 방식

시간 분할 다중화 TDM = ghltjsdml eodurvhrdmf dlfwjd tlrksdmfh qnsgkfgkdu wjsthdgksms qkdtlr

 

13

스마트 그리드 = 전기 및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ㅇ화 고도화 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 극대화

 

디지털 아카이빙 = 지속해서 보존할 가치를 가진 디지털 객체를 장기간 관리하여 이후의 이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변환, 압축 저장하여 DB화 하는 작업

 

14

IoT, 텔레메트리 장치 등에서 최적화되어 사용할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토콜로 브로커를 사용한 발행 구독 방식의 경량 메시징을 전송하는 프토콜은 MQTT이다.

 

 

Mashup은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서로 다른 웹 사이트를 콘텐츠를 조합하여 새로운 차원의 콘텐츠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

 

02

디지털 트윈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 모델로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산 최적화, 돌발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델

 

N-Screen

하나의 콘텐츠를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OWASP

CLASP

== 개념 관점 역할기반 관점 활동평가 관점 활동구현 관점 취약성 관점 등의 활동중심 역할기반 프로세스로 구성된 보안 프레임워크로 이미 운영중인 시스템에 적용하기 쉬운 개발 보안 방법론

 

Seven TouchPoints

== 실무적으로 검증된 개발 보안 방법론 중 하나로써 SW보안의 모범 사례를 SDLC에 통합한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생명주기 방법론

 

SOA는 서비스라고 정의되는 분할된 애플리케이션 조각을 Loosely-coupled하게 연결해 하나의 완성된 Application을 구현하기 위한 아키텍처

SOA는 비즈니스층, 표현층, 프로세스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OWASP 악성파일 및 스크립트 보안 취약점 등을 연구하는 기관

 

5-74

01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관리 등을 모두 소프트웨어로 정의

인력 개입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자동제어관리

데이터센터 내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서비스함

 

02 스토리지 시스템

DAS =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호스트 버스 어댑터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기술

NAS =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기술

N-SCREEN = 하나의 콘텐츠를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NFC = RFID의 확장 기술로, 10cm 이내에서 저전력 비접촉식 무선 통신 기술

 

03

SAN = 서버와 스토리지를 저장장치 전용 네트워크로 상호 구성하고 고가용성, 고성능 융통성 확장성을 보장하고 데이터는 블록단위로 관리

장거리연결 및 멀티프로토콜 기능을 활용

각기 다른 운영체제를 가진ㅇ ㅕ러기종이 네트워크상에서 동일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공유하게 함

 

네트워크접근제어NAC = 단말기가 내부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때 이를 제어하고 통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NIC =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 네트워크 카드

 

가상화 기술

SDS

 

공유 및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 접속

NAS

다수시스템동시연결, 여러 방식으로 ㄱ현되며 2개의 서버를 연결 == 고가용성 솔루션

 

 

MapReduce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파이썬 기반크롤링

Scrapy

 

5-92

 

시스템 내 정보와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하며 노출되더라도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ㅇ원칙

기밀성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는 원칙

무결성

 

정보보안3대요소

기무가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05

sql삽입 =응용 프로그램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서 악의적인 sql구문 삽입, 정보탈취

XSS = 검증되지 않은 외부 입력데이터가 포함된 웹페이지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웹페이지를 열람함으로써 웹페이지에 포함된 부적절한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공격

CSRF사이트간 요청위조 =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공격자가 의도한 행위를 특정 웹사이트에 요청하게 하는공격

오류메시지를 통한 정보 노출 = 프로그램이 실행환경, 사용자, 관련 데이터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류메시지를 생성하여 공격자의 악성행위를 도와주는 보안 취약점

 

5-102

공개키 특징

암호 방식의 한 종류로 사전에 개인 키를 나눠 가지지 않은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통신하는 방식

비대칭 키 암호방식에서 공개키와 개인키가 존재하며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개인키는 소유자만 알 수 있어야 함

공개키는 타협없이 공개적으로 배포가능

 

암호학

DES 대칭 키 기반의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PKI 공개키 암호 방식을바탕으로 한 디지털 인증서를 활용

RSA 소인수 분해

ECC = 이산대수문제

PEM = 암호화 인증 무결성 등의 이메일을 위한 보안시스템

SEED 한국 인터넷진흥원이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해시함수 암호화 = 일방향 암호 방식

스트림암호화 방식 = 양방향 대칭 키 암호방식

 

공개키 암호화 RSA

키의 개수 2N

공개키로 문서를 암호화 함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DES, 3DES, SEED, AES, ARIA, IDEA

 

RSA = 소수를 활용

 

암호 보안 기법

솔트(Salt)키 = 시스템에 저장되는 패스워드들은 Hash 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결괏값으로 저장되는 데 솔트키는 암호공격을 막기 위해 똑같은 패스워드들이 다른 암호 값으로 저장되도록 추가되는 임의의 문자열

 

키 스트레칭 = 해시값을 알아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원문의 해시값을 입력값으로, 다시 그 해시값을 다시 입력값으로 n번 반복해서 적용하는 방법

 

DES = 64bit

 

5-123

TearDrop = IP패킷의 재조합 과정에서 잘못된 Fragnebt offset 정보로 인해 수신 시스템이 문제를 발생하도록 만드는 DoS공격

Smishing =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사람또는 기업이 보낸것처럼 가장

Qshing =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금융업무 처리를 하는 사용자에ㅐ게 인증등이 필요한것처럼 속여 QR코드를 통해 악성앱을 내려받도록 유도

Smurfing = 출발지 주소를 공격 대상의 IP로 설정하여 네트워크 전체에게 ICMP Echo 패킷을 직접 브로드캐스팅하여 마비시키는 공격

 

cyberbullying 괴롭힘

Logic Bomb 특정 날짜나 시간 등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악의적인 기능을유발할수 있게 만든 코드의 일부분으로 삽입된 코APT 조직

 

06

백도어탐지 기법

무결성 검사

프로세스 및 열린포트 확인

로그 분석

Setuid 파일 검사

 

07

메모리 상에서 프로그램의 복귀 주소와 변수 사이에 특정 값을 저장해 두었다가 그값이 변경되었을 경우 오버플로우 상태로 가정하여 프로그램 실행을 중단하는 기술 = 스택가드

 

DDoS 공격

Trinoo, Tribe Flood Network, Stacheldraht

 

세션 하이채킹하는 법

비동기화 상태 탐지. ACK STORM탐지, 패킷의 유실 및 재전송 증가 탐지

 

12. 

Tripwire 크래커가 침입하여 시스템에 백도어를 만들어 놓거나 설정 파일을 변경해 놓았을 때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게 분석하는 도구

 

tcpdum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치는 패킷의 내용을 출력해주는 프로그램

 

cron 스케줄링

netcat TCP UDP 프로토콜을 읽고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에서 쓰는 프로그램

 

정보보안 접근 통제

DAC 임의적

MAC 강제적

RBAC 역할기반

 

Bell-Lapadula Model = 군부대 보안 모델

 

PoD; Ping of Death = 죽음의 핑

Piggyback Attack 사회공학적 방법으로 몰래 따라 들어가는 방법

XSS 검증되지 않은 외부 입력데이터가 포함된 웹페이작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웹페이지를 열람함으로써 웹페이지에 포함된 부적절한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공격

 

 

인증 = Authentication

접근을 사도하는 가입자 또는 단말에 대한 식별 및 신분을 검증

 

인가 = Authorization

검증된 가입자나 단말에게 어떤 수준의 권한과 서비스를 이용

 

계정 관리 =Accounting

리소스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Secure OS

식별 및 인증

임의적 접근통제

강제적 접근통제

 

서버에 열린 포트정보를 스캐닝 해서 보안취약점

nmap

 

침입탐지 시스템의 탐지 기법

오용 시그니처, 놀리지 차단까지

이상탐지는 해우이 또는 통계치

 

침입탐지 시스템 유형

호스트기반 침입탐지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wtmp

ㅅ성공 로그인 로그아웃 정보 기록, 시스템 종료 시작 시간기록

 

tcp wrapper

포장지를 뜯을수있느지 업슨ㄴ지

판별

접근제어 유틸리티

 

이상탐지 사전에 정상적인 패턴을 저장해두고 이외 패턴 발생시 탐지

Anomaly De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