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 Stack/Linux

우리 FISA 4주차 복습 - Linux 2

한 내용을 docker Private에 저장, 하지만 Public으로 해야 모두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Public으로 저장 해 보았다.

 

 

쉘 스크립트 정리

 

 

주요 키

 

  • hjkl 방향키
  • 숫자 + 대문자 G : 해당 행으로 이동
  • G : 맨 끝으로 이동
  • w : 단어별 이동
    • Vim에서는 공백 이외에도 쉼표(,)나 괄호와 같은 기호도 단어 구분자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can’t의 경우 can, ’, t 가 각각 단어로 구별됩니다.
  • b : 단어 사이를 back
  • 0 : 행시작, $ 행 끝

 

 

yw, yy 두 명령어가 자꾸 기억이 나지 않는다 ㅠ

 

vi 환경설정

set   number  # 행번호 출력
set   ts=3 # tab 한번에 3줄
set   ai  # auto indent

 

 

 

 

sudo apt install ncal
cal 1> a.txt  →  cat a.txt
df  -h >> b.txt     →   cat b.txt
who    >  a.txt    →   cat   a.txt
who   >>   b.txt     →   cat   b.txt # 원래 b.txt 내용 아래에 해당 내용 출력
find    /   -user  유저명  # 권한이 없으므로 에러 - 이럴 때 에러 리다이렉션 사용 
find    /   -user  유저명     >    c.txt # 이러면 정상 메시지만 c.txt에 출력됨(1은 생략 가능)
find    /   -user  유저명     2>    c.txt # 이러면 에러 메시지만 c.txt에 출력됨 
find    /  -user atangi 2> /dev/null #  에러를 화면에 출력하고 싶지 않다면 : null device로 출력함.
c     2>    c.txt > normal.txt 
# 에러는 c.txt, 정상메시지는 normal.txt에 redirect : 화면에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 에러 / 정상 관련 명령어 합치기
find    /   -user  유저명 >  total   2>&1 
find    /   -user  유저명 &>  total2

# 에러를 화면에 출력하고 싶지 않다면: null device로 출력하면 됩니다. 
find / -user 유저명 > /dev/null 2> c.txt



한글파일
$ locale -a
$ export LC_ALL="C.UTF-8"
$ locale
$ export LC_ALL="ko_KR.UTF-8"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locales
$ locale-gen ko_KR.UTF-8
# 한국어 로케일 정의하여 ko_KR.UTF-8 이라는 이름으로 현재 환경에 저장
$ locale
$ export LC_ALL="ko_KR.UTF-8"
$ date

로케일


음성을 텍스트로

 

 

 

추가로 따로 install을 해주어야 하는 부분이 많으니, 잘 찾아보고 검색하면서 진행 해보자!

'Tech Stack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FISA 4주차 복습 - Linux 3  (29) 2023.12.20
우리 FISA 4주차 복습 - Linux 1  (2) 2023.12.19